OFF
83
내 주위정보

실시간 인기검색어

서부산닷컴 > 네이버 검색결과
통합검색결과
전체검색 카테고리검색 게시판검색 네이버검색
통정대부
조선시대의 관계. 정3품의 상계(上階)이다. 1865년(고종 2)부터는 문관뿐만 아니라 종친(宗親)·의빈(儀賓)의 품계로도 함께 사용하였다. 통정대부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통정대부
조선시대 문신 정3품 상계의 품계명. [내용] 정3품 상계부터 당상관이라 하였고, 하계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정3품 상계는 통정대부...
통정대부
1857년(철종 8) 4월 양헌수를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한 고신. 통정대부는 정 3품 문신 품계이다. 어영청에서 시재(試才)할 때 초관(哨官)이 유엽전(柳葉箭) 5발을 과녁에 적중시키자 품계를 높여주었다.
통정대부
조선 시대 문관 정3품 당상관의 품계명. 고종 2년(1865)부터 문관•종친(宗親)•의빈(儀賓)의 품계로 아울러 사용함. 고려 시대의 정의대부(正議大夫)에 해당됨.
통정대부
정삼품의 상계(上階)로서 통훈대부(通訓大夫)보다 상위 자리로 당상관(堂上官)의 말미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후로 문관에게만 주다가,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종친(宗親: 임금의 4대손까지의 친족)과...
정순대부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복위하여 정3품의 상계(上階)로 처음 설정하였다. 1356년(공민왕 5) 이후에는 정의대부(正議大夫)와 번갈아가면서 고려 말기까지 사용되다가...
통정대부
평안남도 대동군 학수리 동글메 동남쪽에 있는 옛 무덤터. 조선시대 통정대부벼슬을 하던 사람의 무덤이 있던 곳이라 하여 통정대부터라 하였다 한다. 큰 무덤이 있었다 하여 왕재등터라고도 한다.
통정대부 행제주목사
1864년(고종 1) 2월 15일에 양헌수를 통정대부(通政大夫) 제주목사(濟州牧使)에 임명한 고신. 통정대부는 정 3품 당상관의 품계로 국왕 명의로 이 고신을 발급하였으므로 시작부분에 '교지(敎旨)'라고 쓰여...
최계창 통정대부 교지
4품이상의 벼슬아치를 임명할 때에 내려주던 임명장으로 관고, 관교, 왕지라고도 한다. 본 교지는 최계창(崔啓昌)을 통정대부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교지로(강희 6년 6월 22일) 행서체이며 여러군데 흠이 있다.
이원익 통정대부 교지
벼슬아치를 임명할 때에 내려주던 임명장으로 관고, 관교, 왕지라고도 한다. 본 교지는 이원익(李源益)을 통정대부(정3품 당상관)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교지로 해서체이며 배접표구 되어 있다.(순조 17년 8월)
실시간 검색어
설문조사
검색된 설문이 없습니다.